"저위험군 갑상선암, 적극적 관찰도 효과적 치료 옵션"
상태바
"저위험군 갑상선암, 적극적 관찰도 효과적 치료 옵션"
  • 정 현 기자
  • 승인 2025.02.04 11: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분당서울대병원 문재훈 교수팀, 서울아산병원 전민지 교수팀 등, 공동연구
- 수술과 적극적 관찰, 1년 후 유의미한 삶의 질 차이 없어
- 연구팀 "저위험군 갑상선암, 적극적 관찰 치료도 효과적"
- 논문, SCI급 국제학술지 'Thyroid' 게재

[위즈뉴스] 저위험군 갑상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연구에서 즉각적 수술 대신 ‘적극적 관찰’로도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입증됐다. 

분당서울대병원은 4일, 내분비대사내과 김민주 교수와 문재훈 교수 연구팀이 아산병원 등 국내 11개 병원이 참여한 다기관 코호트 연구(KoMPASS cohort)에서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문재훈 교수, 김민주 교수, 전민지 교수 / 사진=분당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는 저위험군 갑상선암 환자들의 치료 방법에 따른 삶의 질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해 주목받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미국 갑상선학회지인 SCI급 국제학술지 '싸이로이드(Thyroid, IF=6.0)' 최신호에 게재됐다.

논문명은 'Comparison of Patient-Reported Outcomes Between Active Surveillance and Immediate Lobectomy in Patients with Low-Risk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 Initial Findings from the KoMPASS Cohort'이며, 분당서울대병원 문재훈 교수와 서울아산병원 전민지 교수가 공동 교신저자로, 분당서울대병원 김민주 교수가 제1저자로 참여했다.

"저위험군 갑상선암, 적극적 관찰도 효과적 치료 옵션"

연구팀의 김민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저위험군 갑상선암일 경우 수술뿐 아니라 적극적 관찰도 효과적인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며 “암 진단 후 즉각적 수술이 일반적이었던 관행을 벗어나, 환자가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을 통해 치료 방법을 직접 결정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국제학술지 'Thyroid' 최신호에 게재된 해당 논문
doi.org/10.1089/thy.2024.0264

국내 유수의 연구진이 참여한 이번 연구는 저위험군 미세갑상선유두암(1cm 이하의 갑상선유두암) 환자 927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 참여자는 의료진의 설명을 들은 후 수술과 적극적 관찰 중 치료 방법을 선택한 뒤, 치료 직후부터 6개월, 12개월, 24개월에 걸쳐 삶의 질을 평가받았다. 

적극적 관찰이란 갑상선암을 수술하지 않고 6개월~1년 간격으로 초음파 검사를 통해 암의 크기와 전이 여부를 정기적으로 관찰하는 방법이다. 다만 이는 림프절 전이나 주변 조직 침범이 없는 등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며, 의료진과 상담을 통해 적합성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암이 진행하거나 전이가 의심될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로 전환해야 한다. 

적극적 관찰 그룹과 수술 그룹의 삶의 질 점수 비교 / 자료이미지=분당서울대병원

연구 결과, 치료 초기부터 적극적 관찰 그룹의 삶의 질 점수가 7.1점으로 수술 그룹의 6.7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년 후에는 적극적 관찰 그룹이 7.2점, 수술 그룹이 7.1점으로 두 그룹간의 점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즉 시간이 지남에 따라 두 그룹의 삶의 질이 유사해짐을 확인했다.

적극적 관찰을 선택한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령이 높고, 종양 크기가 작으며, 갑상선암 가족력이 있거나 고소득층인 경우가 많았다. 특히 치료 선택 전 적극적 관찰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었던 경우 이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논문의 교신저자인 문재훈 교수는 “환자들에게 수술과 적극적 관찰 모두 선택 가능한 치료 옵션으로 제공되어야 한다”며 “환자가 최선의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각 치료 방법의 장단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설명하는 의료진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장기적인 관찰과 추가 연구를 통해 적극적 관찰의 비용 효율성 및 질병 진행률, 환자 만족도 등에 대한 분석을 이어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