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0세 이상 2011-2012년 국가 건강검진 수검자 276,520명 대상으로 분석
-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 환자에서 항생제 장기 복용 시 심혈관질환 위험 1.56배 증가
- 논문, SCI급 국제학술지 'Hepatology Research' 게재
[위즈뉴스]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MASLD)은 비만, 당뇨, 고혈압 등 대사증후군과 동반되는 지방간 질환으로,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는 가운데, 대사이상 지방간 환자에서 항생제 장기 복용 시 심혈관질환 위험이 증가한다는 국내 연구진의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대는 지난달 28일,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 연구팀이 대사이상 지방간 환자가 항생제를 장기 복용할 경우 심혈관질환 위험이 1.56배 증가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대사이상 지방간 환자의 항생제 사용이 심혈관질환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확인한 첫 대규모 연구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간 질환 및 임상 의학 분야의 SCI급 국제학술지 'Hepatology Research(IF=3.9)' 최근호에 게재됐다.
논문명은 'Association between antibiotic us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in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tic liver disease: A nationally representative retrospective cohort study'이며, 박상민 교수가 교신저자로, 강주현 석사과정생과 박선재 박사과정생이 공동 제1저자로 참여했다.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 환자에서 항생제의 무분별한 사용을 지양해야"
연구팀의 박상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 환자의 항생제 장기 사용이 심혈관질환 위험 증가와 연관될 수 있음을 확인했으며,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 환자에서 장기간 항생제 사용의 영향을 면밀히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박 교수는 “항생제 사용량이 높은 우리나라의 현실을 고려할 때,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 환자와 같은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에서는 항생제 처방을 더욱 신중히 해야 하며, 무분별한 사용을 지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doi.org/10.1111/hepr.14115
이번 연구 내용과 의미를 문답 형식으로 알아본다.
1.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이란 무엇인가?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MASLD)은 비만, 당뇨,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대사증후군 관련 위험 인자를 동반하는 지방간 질환이다. 간에 지방이 축적되어 발생하며, 최근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2. 항생제와 심혈관질환 위험이 어떻게 연결되는가?
항생제의 장기 사용은 장내 미생물의 불균형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불균형은 전신 염증 증가와 대사산물 변화를 일으켜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특히,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 환자와 같은 고위험군에서는 이러한 영향이 더욱 크게 나타날 수 있다.
3. 연구팀이 확인한 항생제 복용과 심혈관질환 위험의 연관성은?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40세 이상 2011-2012년 국가 건강검진 수검자 중 심혈관질환이나 만성 간염 진단 이력이 없는 276,5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 환자에서 항생제를 91일 이상 복용한 경우, 지방간이 없는 항생제 미처방군에 비해 7년간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1.56배 높게 나타났다(조정된 위험비 [aHR]: 1.56, 95% CI: [1.39–1.74]).
또한, 감염성 질환을 추가로 고려한 분석에서도 항생제 장기 복용군의 심혈관질환 위험이 지방간이 없는 1~30일 처방군에 비해 1.38배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 결과는 항생제 사용이 심혈관질환 위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특히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 환자에서 항생제 사용에 신중을 기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4. 항생제 사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대사이상 지방간 환자와 같은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에서는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항생제를 처방할 때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 특히, 장기간 항생제를 복용하는 경우 장내 미생물 불균형을 초래하여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어, 의료 현장에서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
5. 대사이상 지방간 환자의 관리 전략이 왜 중요한가?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 환자의 주요 사망 원인은 간 질환 합병증이 아닌 심혈관질환으로, 전체 사망 원인의 약 1/3을 차지한다. 지방간 자체보다 대사성 위험 인자와 동반 질환이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러한 고위험군에 대한 예방 및 관리 전략 수립이 필수적이다.
6. 향후 연구 계획은?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 환자의 항생제 사용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다양한 암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를 통해 예방 전략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항생제 사용이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교하게 평가하여 실질적인 임상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예정이다.